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일상 23년 2월 16일

긴 하루였다. 마치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그렇게 시간만 지난 것처럼. 새벽에 겨우 잠이 들었건만 해가 뜨기도 전에 일어나 번역해야 했다. 도저히 돌아오지 않을 것 같은 정신을 겨우 붙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다. 온라인 메신저에는 새벽까지 함께 이야기를 나눈 B군이 들어와 있었다. 어찌 된 영문인지 B군은 나보다 더 일찍 일어나 온라인 모임에 나온 사람들에게 자신의 개인 지식 관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대화에 끼고 싶었지만 나는 번역 작업만 해야 했다.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그의 발표는 애써 무시했다. 아니 그래야만 했다. 그의 탁월함이 자꾸 부러웠으니까. 그런데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생각을 막을 수는 없었다. 나는 무엇을 했을까. 나를 지나쳐갔던 정보와 경험들은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 헝클어진 생각을 결국 풀지 못한 채 그렇게 출근했다. 그래, 긴 하루였다. 오늘따라 회사에서 글 쓰는 게 어려웠다. 이렇게 글을 쓰는 게 옳은가 의구심만 들었다. 글의 역풍을 온몸으로 맞느라 앞으로 걷지만 몸은 점점 뒤로 걸어가는 기분이 들었다. 힘들게 뛰었음에도 나는 출발선보다 뒤에 가 있는 것만 같았다. 그래서 퇴근할 때 평소에 타던 지하철 대신 자전거를 탔다. 천호로 사무실을 옮긴 후 처음이었다. 낮은 언덕과 그보다는 좀 더 길게 활강하는 자전거 길을 타고 돌아다녔다. 아직 바람이 서늘했다. 그래도 춥단 생각은 들지 않았다. 콧속으로 들어오는 늦겨울 바람이 왠지 나를 위로해주는 기분이 들었다. 자전거를 타고 집에 오며 오늘 아침에 있었던 개인 지식 관리에 관한 친구의 발표를 생각했다. 정보를 습득하는 것만큼이나 그 지식을 어떻게 정리하고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느꼈었다. 영어로 된 정보를 한국어로 변환하는 나의 번역 작업도 개인 지식 관리만큼 중요할까? 아니 그렇게 느끼는 사람들이 있을까? 번역가는 구글, DeepL과 같은 번역기에 밀려 언젠간 사라질 거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결국 정보와 지식의 상관관계 덕분에 정말 실력이 좋...

UX Writing에 ChatGPT 활용하기

UX Writing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정말 많지만, 간단하게 룰을 정해서 ChatGPT로 하여금 룰에 따라 글을 작성하게 해봤습니다. 1. 프롬프트 설계 단어나 문장을 제시할 것이다 이해하기 쉽게 작성해라 내가 지정하는 형식에 따라 작성해라 헤더는 명사구여야 한다 본문은 문장이되 글자 수 제한은 없다 툴팁도 문장으로 작성하고 200자 제한이다 영어로 요청하지만 한글로 내놔라 2. 1차 결과 매우 흥미롭운 결과가 나옴. 일단 기본적으로 맥락에 맞게 문구를 뽑아냈다. 내용도 비교적 만족스러웠다. 우선 1) 마이크로카피 스타일을 맞췄고, 2) 요청한 스타일(명사구와 문장)도 지켰다. 무엇보다 같은 문장을  3) 본문과 툴팁에 맞추어 문장을 다르게 뽑아냈다.  3. 문체 수정 요청 및 결과 요즘 유행에 맞추어 '합쇼체'가 아닌 '해요체'를 요청했고 본문과 툴팁을 해당 스타일에 맞추어 변경해주었다. 4. 결론 UX Writing이 기업 수준에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니 기업마다 따라야 할 스타일가이드와 용어집이 있다. 용어집만 하더라도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인데 이러한 용어를 다 입력해서 이 용어에 따라 앞으로 작성해줘가 가능할 지는 모르겠다. 다만, 연령별, 교육 수준별로 얼마든지 문장을 쉽게 혹은 어렵게 뽑아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다양한 실험을 해볼 것이다. 한문장 요약: 휼륭하다. 그런데 아쉽다.

주제 혹은 소재만 입력하면 발표자료도 만들어준다고?

생각을 스토리로 바꿔줘요 - Elaborate.ai  사이트: elaborate.ai 생각을 스토리로 바꿔주는 서비스라고? 이건 못 참지! 당장 해보자. 먼저 사이트에 가서 가입을 진행하고   보라색 "Generate" 버튼을 눌러보면   오홍, 처음이니까 "Starting from an Idea"부터 해보자. Topic으로 How to build a community를 입력하고   다음은 그냥 클릭클릭! 난 결과가 궁금하다.       여기까지 진행해서 소비한 토큰은 93. (처음에 500 제공)   다 만든 슬라이드는 이렇게 PDF로 다운로드도 할 수 있고   이렇게 글은 복사해서 블로그에 게시해도 될듯! (난... 뭐해먹고 살지?)